나의 자유노트

[와이어샤크로 배우는 컴퓨터 네트워크] - 1주차(끝) 본문

일상/TIL

[와이어샤크로 배우는 컴퓨터 네트워크] - 1주차(끝)

푸른고양이06 2025. 3. 18. 22:23

(시험공부용+습관공부용+타자연습용 이므로 정보제공은 나중에 따로 CS게시판에 네트워크 내용 더 정리해서 올릴예정)

시험에서 또는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 중요한 부분만 발췌. 또한 중요한 부분은 파란색 볼드표시.

 

2025.03.18.화

*다 쓰고 느낀점 

1. 이거 너무 복습에 비효율적이다. 시간이 너무 걸린다. 그렇다고 이게 내가 혼자 책 읽고 복습하는것보다 좋다고 생각X

2. 시간 시간 시간 복습 30분이면 끝날거 이건 1시간이 넘는다.

3. 전공은 복습 글을 올리기 보다 주말이나 날 잡아서 아에 CS정보글 올리는 식으로 잡아놔야겠다.

    어차피 틈날때마다 보고 도움되기 위한거 올릴건데 학교 공부내용 보단

4. 쨋든 그래서 복습 게시판은 폐기 ( 전공 복습도 굳이? TIL에 넣고 나중에 다 배우면 따로 공부해서 블로그에 작성하자.)


 

[인터넷의 역사]

인터넷(internet - 소문자 i -> 일반적인 의미 ) : 서로 통신할 수 있는 둘 또는 그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 대문자 I -> 학술적인 의미) : 가장 대표적인 인터넷(소문자)은 100만개 이상의 네트워크가 상호 연결된 네크워크

 

1-1 : ARPANET 

미국 국방성(DOD)에서 1960 대형 연구기관의 대형 컴퓨터들은 연결 할 수 없었기에 연구비용 줄이고, 중복연구 X 겸

컴퓨터들을 서로 연결하는 방법을 연구함.

 

ACM 모임에서 ARPANET 제안

 

1-2 : 인터넷의 탄생

1972년 APRANET의 핵심 멤버인 이들이 여러문제를 발견 해결할 게이트웨이란 장비 고안

이후 여러 과정을 통해 TCP/IP 개발

 

그 후 여러과정들이 있었음.

 

MLINET, CSNET, NSFNET, ANSNET 과 같은 특수한 네트워크들

 

1-8 현재의 인터넷

현재의 인터넷은 단순한 계층 구조가 아니다. 

연결 장치와 교화(switching) 지국들로 결합한 많은 근거리 통신망과 광역 통신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저런 이유로 오늘날 인터넷 연결을 원하는 사람들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Internet Service Provider)를 이용한다."

ISP에는 국제 서비스 제공자, 국가 서비스 제공자, 지역 서비스 제공자, 로컬 서비스 제공자가 있다.

현재의 인터넷은 정부에 의해서가 아니라 통신사업자들에 의해 운영된다.

 

1-9 월드 와이드 웹 (WWW)

팀 버너스 리 박사가 개발 , 아주 유명하다.!

 

1-10 대등 대 대응(peer - to - peer, P2P)

최근 토렌트와 같은 파일 공유 응용 프로그램, 비트코인, 이더리움 같은 암호화폐 기술, 그 밖의 분산 스토리지, 

분산 메세지 기술, 분산 컴퓨팅 등 많은 대등 대 대응 기술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프로토콜]

프로토콜(protocol) : 통신을 주도하는 규칙들의 집합

- EX : 두 사람이 얼굴을 마주보고 하는 통신(대화)에도 어떻게 통신할건지, 어떻게 계속하는지, 끝내는지 보이지않는

          암묵적인 규칙들이 있다. 

          전화 통화에서도 어떻게 연결을 만들고, 어떻게 호출에 응답하고, 어떻게 인사하고 , 종료하는지 등. 

- 두 사람 또는 두 장치 간에 이루어지는 통신은 프로토콜 필요.

 

-개체(entity) : 정보를 보내고 받는데 필요한 모든 일을 담당한다.

  -- 단, 두 개체가 서로 단순히 비트스트림을 보낸다해서 서로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건 아니다.

      통신하기 위해선 반드시 개체들이 프로토콜에 합의해야한다.

 

-프로토콜의 주요요소

 --구문(Syntax) : 데이터의 구조나 형식을 가르킴, 데이터가 표현되는 순서를 의미

   ---EX : 간단한 프로토콜에서는 첫 8비트는 송신자 주소 의미, 두번째 8비트는 수신자의 주소 의미 

              나머지는 메시지 의미 이처럼 PC들이 통신할 때 차이점을 해결하는게 필요.

 

  --의미(Semantics) : 비트들의 영역별 의미를 나타냄, 즉 특정 패턴을 어떻게 해석하고, 그를 기반으로 어떻게

                                 동작할 것인가를 결절하게 됨

   --- EX : 주소는 메시지의 최종 목적지나 선택되는 경로를  구분하게 된다.

 

  --타이밍(Timing) : 언제 데이터를 전송하고 얼마나 빠른속도로 전송할 것인가

   ---EX : 송신자가 100Mbps로 데이터를 보내는데, 수신자가 1Mbps로 처리하게 되면 감당하기 힘들정도로 많은 데이터                  전송되어 대부분의 데이터는 잃게 될 것이다.

 

[표준]

표준(standard) : 사회 이익 증진 목적으로 과학기술 및 경험의 종합적인 결론이나 이해 관계자의 협력과 모든 의견,

                           '대다수의 승인'에 의해 작성된 기술 규격서 또는 그외의 문서로서의 국가, 지역 또는 국제 레벨에서 

                           인정된 단체에 의해서 등인된 것이다

 

-표준 

 -- 법률 표준(De jure, by law) : 말 그대로 법적인거라 따로 검증 필요 없음.

 -- 사실 표준(De facto, by fact) : 사람들에 의해 검증이 필요함.

  ---특허표준

  ---비특허 표준

 

 (국제표준)

국제 표준화 기구(ISO,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 범세계적 기구, 164개국 구성(정회원 117개국, 준회원 48개국, 간행물구독회원 9개국)

 

국제 전기통신 연합(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 CCITT(Consultative Committee for International Telegraphy and Telephony)로 활동해오다 ITU-T, ITU-R, ITU-D로 구성    되어 활동하고 있다. 

   ITU-T 표준 중 전화선을 이용 규정한 V(V.32, V.33, V.42 등), 공중 디지털망 을 통한 X(X.25, X.400 등), 전자우편과 디렉     토리 서비스, ISDN 등등이 있다.

 

미국 국립 표준원(ANSI,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 미국의 표준안을 제정하는 사단법인으로써 ISO의 미국 대표단체

  ASCII(American Standards Code for Infermation Interchange)가 있다.

 

전기 전자 공학자 협회(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 전기학회, 무선학회 합병하여 만들어졌으며, 미국 최대 학회 전세계 각국의 학자들과 전문기술자들로 구성된

  세계 최대 규모의 전기 전자 전기통신 컴퓨터 분야의 전무 공학 학회

  -컴퓨터와 통신의 국제 표준을 개발하고 채택함

  -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위원회가 있음.

 

미국 전자 산업 협회(EIA, Electronic Industries Association)

: 미국의 전자기기 제조업체를 대표하는 단체, 여러분야의 표준화에 힘쓰며 데이터 통신의 물리적인 연결 인터페이스와 신    호 체계 규격을 규정하는 등의 중요한 일을 해왔다.

  특히 단말장치와 모뎀 간의 인터페이스를 규정한 RS-232-C 등이 유명하다.

 

미국 국립 표준 기술원(NIST, National Institute Standards and Technology)

: 미국 상무부에서 1901년에 창설된 미국 표준 기관으로서 경제분야의 보안을 강화하고 삶의 질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측정과학, 표준 및 기술이 발전하여 미국의 혁신과 산업경쟁력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포럼)

 

인터넷 공학 전문팀(IETF,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 인터넷 표준안을 제정하는 기술위원회로써 여러 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있음

  매년 3회의 회의를 통해 인터넷 관련기술 논의, 일반적으로 전자우편으로 의견 교환 및 수렴이 이뤄지므로

  표준화 절차가 매우 빠름.

 

(국내표준)

 

국가기술표준원(KATS,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 국내산업 전반의 기술 표준을 수립하고 관리하는 것을 핵심목표로 함.

  우리나라 산업 표준(KS, Korean Standards)을 제정하고 관리함. (품질관리시스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Associate)

: 정보통신 기술의 표준화 계획을 수립하고 표준 제정, 제품에 대한 시험 및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표준 선도 기관

 

(인터넷 표준)

인터넷 표준(Internet Standards) : 인터넷을 이용하여 작업하는 사람들에 의해 완전한 시험을 거쳐서 사용되는 규격

                                                       (사실표준이기 때문에임.) 

                                                       -이러한 규격은 인터넷 표준 상태에 따라 완성되는 처리 절차가 있다.

                                                        이는 인터넷 초안(Internet Draft)으로 시작 이것은 공식적이 아닌 상태에서 6갸월 정도                                                          유효기간 갖음.

                                                        초안은 RFC(Request For Comment)로 발간.

                                                        이후 RFC는 완성단계를 거친 후 요구 수준에 따라 분류한다.

 

~~ RFC 요구단계

깐깐 - 요구(Required) : IP 와 ICMP 가 요구 프로토콜이다.

        - 권고(Recommended) : FTP와 TELNET 가 권고 프로토콜이다.

        - 선택(Elective)

        - 사용제한(Limited use)

easy - 미권고(Not recommended)

 

 

[인터넷 관리를 담당하는 일반적인 조직]

인터넷 공학 전문팀(IETF,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 인터넷 표준과 같은 계획한 규격을 개발하고 검토한다.                              

 

Comments